일본인 저자가 글로벌한 시대에 직접 체득한 경험으로 이것만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알려준다.
일본을 비롯, 한국, 중국 등 주입식 교육체계에서 공부한 사람들이 글로벌로 나가서는 경쟁력이 없다는 것이다. 대학을 가기 위해 공부하고 시험을 잘보기 위해 배웠던 우리는 '잊어버리기 위해 시험공부한다'라는 자조적인 농담도 했었다. 실제로 초 6, 중 & 고 6 총 12년을 기본을 배워야할 학습체계에서 무엇을 배웠는지 잘모르겠다.
저자가 주장하는 인재공부법은 딱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.
1. 답은 한가지가 아님을 알 것 : 답이 없는 가은데서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낼 필요가 있기 때문
2. 이론과 기본틀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 것 : 한국이나 일본의 교육이 아직 지식 쌓기에 편중되어 있고 내향적인 까닭에 세계의 엘리트들이 기본으로 구사하는 이론과 프레임워크를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. 이 이론과 프레임워크를 세계 무대에서 계속 '실천'해야 함
3. 대화 능력을 갈고 닦을 것
주입식 교육에선 답이 한가지가 아닌 것은 오답이다. 그런데 글로벌한 인재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답의 다양성을 인정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. 그리고 대화를 할 때도 이론과 프레임을 익히고 활용해서 대화를 한다면 훨씬 풍부한 내용에 대해 나눌 수 있다고 주장한다.
관리자가 되기 전에는 전문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지만, 리더는 인재를 발굴하고 키울 수 있는 혜안이 더 요구된다고 한다. 한 조직을 책임지고 있는 나도 스페셜리스트를 넘어, 창의적인 통찰력을 바탕으로 인재를 활용하며 일하는 조직 시스템을 갖추는 리더가 되어야겠다.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해준 저자에게 감사하다.